PostList

2014년 12월 23일 화요일

엔들리스 레전드 소개

Endless Legend(엔들리스 레전드)는 판타지배경의 4X 장르의 게임이다.
출시일 : 2014.9.18
제작사 : Amplitude Studios (우주4X게임 Endless Space로 데뷔한 신생제작사)
언어 : 영어
메타크리틱 평점 : 82/100

 
4X장르의 대표적게임인 문명시리즈는 지구의 역사시대를 배경으로 하지만 나머지 4X게임의배경은 대부분 2가지가 주로나온다. 우주 그리고 판타지이다.

그중 판타지를 배경으로 한 4X게임은 명작이 고전게임밖에 없고(FFH2까지) 최신게임은 하나같이 다 나사가 빠진것같았으나 Endless Legend가 나오면서 도시내정,전투,탐험 등이 전부 갖춰진 게임이 나오게되었다.

  제작사인 Amplitude Studios는 전작 Endless Space라는 우주배경의 4X게임을 만들었고 메타크리틱 77점을 받아 신생 인디개발사치고는 준수한 성적을 거둔 제작사이다. 이 제작사의 개발모토는 G2G(Games2Gether)라고하여 유저들의 의견반영을 우선적으로 개발하는 회사이다.(추가컨텐츠및 종족등을 후보중 유저들의 투표로 업데이트하는식이다) AI 문제점을 제작사가 빠른 패치로 보완하여 출시후 3달이 지난 지금 꾸준한 추가 마이너팩션들과 문제였던 AI 업데이트로 제작사의 성실함을 보여주고 있다.

 언어적 측면으로 보자면 쉬운 영어들을 위주로 사용한다. 중학교수준의 영어단어로 익숙해진다면 별 무리없이 소화가능하다. 하지만 그래도 영어라는것이 모국어보다 불편한 외국어기에 지나치는 글들이 많아질수밖에없다. XML기반이라 능력자들이 한글화를 시도하기 쉽기때문에 한글화 소식이 들려올수도 있다고 본다. 전작 Endless Space는 유저 한글화팀이 작업을 했다고 들었다. 언어장벽을 느끼는 유저들은 한글화를 기대하기로 하자.
 
 본격적인 게임의 소개를 시작하겠다. 게임의 승리 조건은 상대방 전멸/상대원래수도 전부점령/외교포인트 지정점까지 획득/돈 지정점까지 획득/6단계 과학기술 5개 완료/퀘스트 마무리후 원더 짓기/지배가능한 땅의 80% 지배하기/일정턴이 지나고 점수로 이기기로 총 8가지이다.


기본적인 게임화면
 문명5와같이 6각형 타일이다. 게임은 5가지 기본 자원과(Food식량/Industry산업/Science과학/Dust돈/Influence영향력 줄여서 FISDI라고한다.)과 무기,갑옷,장신구,건물에 사용하는 전략자원들, 행복도를 늘리고 여러가지 버프를 주는 사치자원들이 있다.
왼쪽위의 버튼들은 순서대로 국가/도시리스트/연구/퀘스트/영웅/군대/외교/시장 이다.
황금색 동그라미는 Dust로 게임상 돈이다. 그 아래의 것들은 전략자원으로, 총 6가지가있으며 스크린샷에는 5가지가 나와있다.  장비(무기,갑옷,장신구)와 내정용 건물에 사용한다.
오른쪽 위는 퀘스트 지표로써 퀘스트 메뉴에서 띄워놓을것을 정할 수 있다.
오른쪽 아래의 턴 넘기기 아래쪽에 두가지 타일보기로 육각형 틀 보기와 자원숫자표시가 있다.

줌아웃을 하면 전략시점이 된다
오른쪽 위의 아이콘이 순서대로 식량/산업/과학/돈/영향력이다. 인구수를 각 자원에 투자해서 내정 배치를 할 수가 있다.
엔드리스 레전드의 개척은 각 이름지어진 지역당 한 도시만 지을 수 있다. 개척자를 마구 찍어내는 플레이에 대한 적절한 조정이라고 할 수 있다.
대신 타일의 자원을 획득하기 위해선 도시 구역을 늘려야하는데, 늘리게 되면 행복도를 -10하게되어 행복건물과 사치자원의 조정이 많이 필요하다.
다른 판타지 문명에 비해 내정이 매우 중요해져 재미를 준다.


연구 화면
  엔드리스 레전드는 총 6개의 시대로 나뉘어지는데, 각 시대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전시대의 연구가 9개 필요하다. 연구 휠은 4부분으로 나뉘어지는데, 위쪽은 군대, 왼쪽은 성장, 아래쪽은 영향력, 오른쪽은 과학/산업이다. 연구는 순서를 정해서 미리 눌러둘 수 있는데, 어느 연구를 우선적으로 하는것에 대해서는 게임플레이 연재에서 공략할 것이다.

유닛을 클릭하면 나오는 화면
 유닛들은 부대를 구성하여 움직인다. 부대를 구성하는 숫자는 군대에 관한 기술 업그레이드에 따라 달라진다(4/6/8순이고 커스텀종족설정에서 특성으로도 추가가능)

문명5와 같은 육각형 타일이지만 유닛이 겹쳐서 이동할 수 있다. 유닛은 고유한 특성치와 더불어 장비를 이용해 여러가지를 바꾸어 줄 수 있다.


군대 설정안의 무기고 화면
군대 설정에서는 자기가 기존 병종의 새로운 업그레이드 병종을 만들 수 있다. 각 슬롯에 장비를 끼고 병종 이름을 정하고 도시에서 생산할 수 있다.
기존 병종도 편집하여 업그레이드할수있다. 그렇게된다면 기존 병종의 이름 뒤에 2,3,4,5 등 숫자가 붙는다. 기존에 있던 병사도 병종이 업그레이드되었다면 영토내에서 값을내고 업그레이드할수있다.


 전투 시작 화면
 전투 시작화면에서는 자신의 지원군을 부를것인지, 전체적 전략(전투내에서 바꿔줄수있다)과 자신이 직접하는지, 보기만하는지,아니면 자동으로 하는지를 정할 수 있다.
지원군은 주변타일에서 턴마다 지원이 오며, 분대별 싸움에서 대규모 싸움이 일어날 수 있게 해준다.


부대 배치 화면
 군대가 접촉한 곳 중심으로 전장이 만들어지고, 분대 배치 화면에서는 자신의 색상으로 표시된 타일 위에서 유닛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전장의 고저차를 이용해 길목을 틀어막고 이득을 볼 수도 있고, 뻥 뚫린 곳으로 유도하여 기병으로 상대방 궁수를 모두 잡아버리는것도 할수있다. 일반 지형이 전투지형으로 되기때문에 수비중이라면 수비하기 쉬운 요충지를 잘 지키는것이 중요해진다.


전투 도중
전투는 한개의 분대가 상대와 근접하여 오른쪽클릭을 해주거나 전투명령을 해주면 돌입한다. 전투는 배치를 하고 6번의 턴이 지나가면 서로 피해가 누적되고 전투가 종료된다.

전투는 이동-타겟팅 설정을 해주고 움직이는 순서는 각 유닛의 Initiative(주도력)이 높은 순으로 정해진다. 근접 유닛이 공격을 해서 반격을 하면 반격을 한 유닛은 공격/이동턴이 스킵이된다. 반격은 일반적으로 1회만 할수있다. 원거리 유닛의 공격은 반격을 받지 않는다. 상대의 반격을 유도해 한놈만 패면서 반격을 못하게 하거나 근접유닛으로 상대유닛을 하나씩 공격해 이동과 공격을 모두 묶어버려서 자신의 원거리 유닛을 지키는 전술도 좋다. 하지만 예외가 있는것이 반격도 하면서 자신의 차례도 수행하는 유닛도 있으며 반격할때 주변을 휠윈드로 쓸어버리는 유닛도 존재하므로 무조건적으로 사용해야하는 전술은 아니다.

  공격의 성공은 상대의 공격력과 자신의 방어력의 비교로 정해지고, 데미지는 따로 존재한다. 아래쪽의 공격 성공표는 왼쪽부터 크리티컬/성공/막힘/완전막힘 순서이다. 그 아래에 각각의 데미지가 표시된다. 방어에 특화된 유닛중에는 공격 성공을 아예 안시키고 모든공격을 거의 막아버리는 수준의 유닛도 있고 어느 유닛은 공격성공율이 낮은대신 통하면 일반공격성공이라도 치명타급의 데미지를 주는 유닛도 있다.


 아카데미 화면
 판타지 문명류하면 빼놓을 수 없는게 영웅이다. 영웅은 3가지 클래스(보병/원거리/지원병)이 있으며 스킬트리가 존재해 내정형영웅/전투형영웅을 육성할 수 있다.

아카데미에서는 영웅들을 관리할 수 있다. 영웅들을 고용하려면 시장에 가서 영웅을 돈(더스트)를 주고 고용해야 한다. 영웅을 고용하는것은 비싼 돈이 들기 때문에, 평소에 돈을 아껴두는게 중요하다. 내정을 위해선 영웅을 도시에 임명해야하고, 전투를 위해선 당연히 영웅을 부대에 임명해야한다. 영웅은 자신이 임명된 도시에서 건물을 짓거나 부대를 지휘하며 시간이 지나거나 적들을 격파할때마다 경험치가 오른다.


영웅의 스킬트리
영웅은 다른 RPG게임에서나 쓸법한 화염구나 등등 강력한 스킬을 쓰는 대신에, 스탯이 같은 레벨의 일반유닛보다 뛰어나고 영웅들만이 쓸 수 있는 아이템이 존재해서 내정적으로나 군사적으로나 강력하다.

왼쪽 트리는 클래스로, 3가지 클래스중 하나에 해당하는 전투에 관한스킬트리이다. 중앙은 일반적 영웅의 스킬트리로, 탐험/성장에 대한것이다. 오른쪽 스킬트리는 종족(문명)별로 다른 스킬트리를 가지고있다. 주로 내정에 관련된 스킬이 많다.


외교 개관 화면
 외교 개관 화면에서는 상대와 나의 관계가 어떤지를 주로 볼 수 있다. 마우스 커서를 올리면 나와 상대가 했던 조약들이나 상대가 나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 수 있다.


본격적인 외교 화면
 외교에서는 상대에게 작용하는것이 모두 영향력을 소모한다. 영향력 포인트를 소모하지만, 소모하는 만큼의 강력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상대가 일방적으로 내 영토로 진입하지 못하게 국경을 막아버릴 수 있고, 상대의 과학기술을 대가를 주고 사 올 수 있다. 영향력을 허무하게 소모하지 않게 상대가 승낙할것인지 아닌지를 중간에 Contact term의 바를 통해서 알 수 있다.


국가 운영 화면
 국가 운영 화면에서는 자신의 국가 전체적인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국가 전체의 행복도는 어떤지, 자신의 전략/사치자원은 무엇이 있는지, 자신이 융화시킨 소부족들은 무엇이 있는지, 국가 계획이 지금 어떤지, 게임 상태(F9를사용할수도있다)를 볼수도 있다.
Empire Plan(국가 계획)이란 영향력 포인트를 투자해 국가 전체적인 보너스를 받는 것이다. 4단계까지 있으며 시대가 발전될수록 언락이 된다. 도시가 늘어날수록 소모되는 영향력은 커진다. 따라서 적은 도시로 슈퍼도시들을 운영한다면 모두 4단계까지 꽉 채울수도있다.



시장 화면
 
시장에서는 여러가지 전략자원/사치자원/재고품/유닛(용병)/영웅을 구매하거나 팔 수 있다.
수요와 공급에 법칙에 따라 움직이며, 이 시장을 관리(시장출입금지를 다른종족에게 때려버릴수도있다)하는 종족도 있을정도로 시장은 많이 중요한 곳이다.
Stockpiles란 쌓여있는 재고품같은건데, 식량/산업/과학을 뭉터기로 만들어서 사용하면 얼마씩 오르게 만든것이다. 순간적으로 부스팅하려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즉 미리 만들어두는 생산량인 것이다.


게임 상태 화면
F9를 누르거나 국가 운영 화면에서 오른쪽아래의 Status Screen 을 누르면 진입가능한 화면이다. 이곳에서는 상대방이 지금 무엇을 하고있을지 추론이 가능한 정보센터라고 볼 수 있다.
가장 중요한것은 군사 탭과 아래쪽 Victory statuses인데, 군사 탭은 상대가 병력이 어느정도인지를 점수로 알아서 대응할 수 있고, 승리 조건탭은 상대가 얼마나 승리에 근접했는지를 알 수있어서 앞으로의 계획을 짜기 쉽게 만들어 준다. 사실상 첩보가 힘든 관계로 이 화면을 자주 관찰해서 상대방을 파악하는것이 중요하다.
게임의 전반적인 부분을 수박 겉핥기 같은느낌으로 본 것이다. 다음 글에서는 전체적인 종족들과 마이너팩션(소부족)들에 대해 소개하겠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